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가야 지역의 고분에서 출토되는 철제 유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무기입니다. 무기는 공격용 수단으로 사용되었던 전쟁의 도구로써, 가야고분에서는 큰칼(大刀), 철검(鐵劍), 쇠투겁창(鐵矛) 등의 근거리 무기와 활과 화살의 원거리 무기가 출토됩니다. 큰칼(대도)은 양쪽에 날이 있는 검과는 달리 한쪽에 날이 있는 것입니다. 대도가 우리 나라의 남부지방에 도입된 것은 2세기 후반입니다. 낙동강 하류역의 김해 양동리 유적 등의 예로 볼 때 목곽묘의 채용과 함께 나타나는데, 당시 길이 40cm이하의 철제단검과는 달리 길이 80cm이상의 대도가 중국으로부터 도입됩니다. 이는 단순히 새로운 문물의 도입이라기보다는 전술의 변화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그러한 변화와 함께 손잡이에 둥근 고리가 부착되어 단순한 무기가 아니라 권력의 상징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고리자루큰칼 고리자루큰칼
화살통 화살통

대도의 도입기에는 단순한 철제고리(鐵製環)였으나 4세기 이후 고리 내부에 삼엽(三葉), 용(龍), 봉황 등의 장식이 삽입되고, 손잡이가 금은으로 장식되었으며, 5세기 이후에는 권력의 상징물인 위신재(威信財)로 정착하게 됩니다. 고리자루큰칼(環頭大刀)는 고리 내의 장식이나 고리의 모양에 따라 용봉문(龍鳳文) 환두대도, 삼루(三累) 환두대도, 삼엽(三葉) 환두대도, 소(素) 환두대도 등으로 구분되며, 이순서가 피장자(被葬者)의 신분적 차이를 직접적으로 반영합니다.

또한 지역적인 특색이 있어 가야에서는 용봉문 환두대도가, 신라에서는 삼루 환두대도가 최고의 환두대도입니다. 용봉문 환두대도는 신라, 백제, 가야에서 모두 출토되나 가야 지역에서 출토된 것이 가장 많습니다. 삼엽 환두대도의 경우 신라에서는 고리의 모양이 위는 둥글고 아래는 네모진(上圓下方) 형태가 많으며 금은으로 장식이 되지만, 가야에서는 둥근 고리(圓環)가 많고 대부분 철제품입니다.

철검은 1~3세기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4세기 이후의 출토량은 매우 적습니다. 1~2세기의 검은 길이 40cm이하의 단검으로서 세형동검(細形銅劍)에서 그 재질이 변화된 것입니다. 2세기대 대도의 도입과 동시에 장검으로 변화합니다. 중국 한나라로부터 대도와 함께 장검이 유입되었습니다. 3세기까지는 철검이 철모와 함께 주된 근거리 무기였으나 4세기 이후 대도가 근거리 무기가 되고 또한 권력의 상징물로 되면서 철검의 출토량은 줄어듭니다.

쇠투겁창(鐵矛)는 초기에는 낙랑의 영향으로 제작되나 기원후 1세기경 2단병식철모(段柄式鐵矛)라는 영남 지역의 특징적인 철모가 제작됩니다. 3세기 말경에 모의 몸체가 장대해지는 비실용적이고 의기화한 철모나 나타납니다. 5세기 이후 기마전술(騎馬戰術)의 도입과 함께 중요한 실용무기가 됩니다. 고구려 고분벽화의 개마무사(鎧馬武士)가 가지고 있는 무기는 모두 모(矛)입니다. 가야고분에서 출토되는 철모는 모두 실용성이 강한 것입니다. 실용철모와는 별도로 판상철모(板狀鐵矛)와 같이 실용성이 없고 상징성이 강한 모도 있습니다.

가야의 무기 중 효용성이 높은 것이 활과 화살입니다. 활은 창원 다호리 유적, 고령 지산동 39호분 등에서 단편적인 실물자료가 출토되기는 하였으나 형태가 복원되는 것은 없습니다. 1세기대의 창원 다호리 11호분에서는 길이 170㎝정도의 나무에 검은 칠을 한(黑漆木心) 직궁(直弓)이 출토되었습니다. 4세기 이후의 활은 형태를 추정할 수 있는 실물자료는 없지만 고구려 고분벽화의 자료로 추정해 볼 때 만궁(彎弓)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가야의 무기 중 가장 많은 것이 쇠화살촉(鐵鏃)입니다. 화살촉의 몸체 모양에 의해 여러 가지로 구분되며 용도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집니다. 철촉은 원거리 공격용 무기로서, 그 형태적인 변화는 살상력과 관통력의 증대라는 공격력의 변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초기의 1~2세기 철촉은 뿌리가 없는 무경식(無莖式)으로서 촉의 몸체가 넓은 편이었으나, 3세기에 뿌리가 있는 유경식(有莖式)으로 변화하면서 촉의 몸체가 뾰쪽해지며, 5세기이후 목이 긴 장경식(長頸式)으로 변화하여 무게 증가가 이루어집니다. 가야 지역에서는 출토되지 않았으나 경산 조영동 유적에서는 활의 시위에 물리는 뼈로 만든 오늬가 출토되었습니다. 무덤에서 출토되는 철촉은 10~30점이 묶여있는 경우가 많으며, 화살통에 넣어진 상태로 부장된 것입니다. 화살통의 형태는 고령 지산동 39호분의 반원통형(半圓筒形)으로 된 것과 동래 복천동 11호분의 장방형으로 된 것이 있습니다. 화살통은 보통 가죽이나 나무로 만들어지나 그 장식을 철이나 금동으로 하여, 위신재적(威信財的)인 성격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 외 고구려의 벽화고분에 보이는 부월수(斧鉞手) 등으로 볼 때 가야에서도 철부, 철겸 등의 농공구가 무기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담당자
합천박물관 (☎ 055-930-4882)
최종수정일 :
2019.06.27 14: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