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영상테마파크
합천영상테마파크는 2003년 영화 <태극기 휘날리며>를 촬영하면서 만들어졌다. 이 전쟁 영 화는 이듬해 개봉과 동시에 1000만 명 이상 관객을 동원하는‘대박’을 터뜨렸고, 주요 촬영지 인 이 곳 테마파크도 더불어 유명해졌다.
합천영상테마파크에는 1920년대 경성(서울)의 거리 풍경과 건물들이 세트로 마련돼 있다. 1980년대 서울 거리를 재현해 놓은 데도 있다. 1960~70년대 모습 그대로인 시외버스터미널도 있다. 기차역도 마찬가지여서 여기 서면 옛날 한복을 입은 노인이나 아낙네가 걸어나올 것 같기도 하고 일제 강점기 고등중학교나 전문학교 제복을 입은 학생이 튀어나올 것도 같다.
이곳이 즐겁고 새로운 공간인 까닭은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는 사라진 것들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데에 있다. 70~80년대를 살았던 중장년에게는 여기 풍경들이 몸소 겪었던 한 시대에 대한 추억으로 새롭게 재구성된다. 또 역사 교과서에서 배웠거나 어른들에게서 얘기를 들은 적이 있는 일제강점기 같은 지난 역사에 대한 공감도 새롭게 형성된다. 80년대 이전을 겪지 않은 세대에게도 즐겁고 새롭다. 앞선 세대와 달리 현실이 아닌 텔레비전이나 영화에서 본 건물과 거리들을 몸소 보고 만질 수 있는 것이다. 좋아하는 영화배우나 탤런트가 촬영한 세트장을 거닐수도 있으니 신기함도 더해지지 싶다.
합천영상테마파크는 <태극기 휘날리며>, <서울 1945>와 <에덴의 동쪽> 세트장으로 크게 나 뉘지만 고정불변은 아니다. 올해 인기를 끈 영화 <써니>도 촬영했는데, 그렇다고 세트장이 따로있지는 않다. 1980년대 분위기가 나는 거리 세트장에서 겉모양을 알맞게 달리 보이도록 했을 뿐 이다. <서울 1945>에서 초대 대통령 이승만이 해방 이후 돌아와 처음 묵었던‘돈암장’같은 경우도 시대가 다른 <경성 스캔들>이나 <백자의 사람>에서는 그에 맞게 변신한다. 이승만 대통령이 뒤에 옮겨간‘이화장’은 사람들에게 술과 밥을 파는 식당 구실을 제대로 하고 있다.
전쟁 장면을 찍는 장소도 늘 바뀐다. 불에 탄 건물이 팽개쳐져 있고 군용 트럭은 뒤집어져 있다. 탱크도 동원되는데, 지난해 6월 개봉한 <포화 속으로>도 여기서 촬영했다. 텔레비전 예능프로그램 <무한도전>이 달력 촬영을 하고, 서바이벌 체험을 한 무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