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가야의 고분은 원삼국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가야지역에서 조성된 고분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그 분포는 낙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가야의 옛 영역이었던 경상북도의 선산, 성주, 고령, 대구, 경산과 경상남도의 함안, 창녕, 김해, 고성, 진주, 부산까지 미치고 있습니다.

가야고분은 신라고분과 마찬가지로 삼한시대의 여러 분묘 형식을 계승하고 있으나 각 지역마다 특색을 가지고 변화 발전하였습니다. 고분의 입지는 대개 남쪽으로 너른 평야가 펼쳐져 있는 구릉지대나 산정부 또는 경사진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가야의 고분은 그 구조에 따라 토광묘(土壙墓), 석관묘(石棺墓), 석곽묘(石槨墓), 석실분(石室墳), 옹관묘(甕棺墓) 등으로 나누어집니다.

목곽묘 목곽묘
석곽묘 석곽묘
석실묘 석실묘
옹관묘 옹관묘

토광묘는 내부시설에 따라 토광목관묘(土壙木棺墓)와 토광목곽묘(土壙木槨墓)로 나눌 수 있고, 석실분은 횡구식석실분(橫口式石室墳)과 횡혈식석실분(橫穴式石室墳)으로 나뉩니다.

토광목관묘는 가야 초기의 대표적인 묘제로, 그 구조는 장방형의 묘광을 파고 내부에 목관을 안치한 형태입니다. 토광목관묘는 토광목곽묘보다 폭이 좁고 깊은 것이 특징이며, 목관의 형태는 창원 다호리 유적을 통해 볼 때 통나무관을 사용한 것 같습니다. 출토 유물은 철기류와 와질토기, 청동제거울 등입니다.

토광목곽묘는 토광목관묘 다음 단계에 나타난 묘제로 A.D 5세기까지 유행합니다. 낙랑지역의 목곽묘 영향으로 출현하며 묘의 규모는 대단히 커지며 대형의 경우 길이 7~8m, 너비 2m, 깊이 1m 정도이고, 소형은 보통 길이가 2m 내외입니다. 토광목곽묘는 초기 단계에는 단독분이 주류를 이루나 4세기에 접어들면서 부장유물을 매납하기 위한 부곽(副槨:딸린 널)이 새로이 추가됩니다. 부곽은 보통 주곽과 일직선상에 배치되며, 부곽에는 보통 피장자를 위한 부장품만 매납하나 대형분의 경우에는 주인공의 종이나 노예, 가신 등을 유물과 함께 매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순장의 예는 김해 대성동고분군과 부산 동래 복천동고분군, 고령 지산리고분군, 합천 옥전고분군 등에서 확인됩니다.

석관묘는 판석을 네모지게 조립해 만들고 그 안에 시신을 넣어 매장하는 무덤으로 청동기시대의 석관묘와 연결됩니다. 석관묘는 머리 부분이 넓고 발치폭이 좁은 형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예는 고성 솔섬 유적과 김해 예안리, 창원 삼동동 고분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석곽묘는 깬돌이나 냇돌로 시신을 매장하는 주체부를 만든 형태로 매장주체부는 돌로서 네 벽을 쌓고 그 위에 판석으로 뚜껑 시설을 한 것입니다. 이 석곽묘는 가야 묘제의 특징적인 것으로 가야문화를 신라문화와 구분 짓는 요소 중의 하나입니다.

현재 남아 있는 가야 고분의 대부분은 석곽묘 형태이며,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동래 복천동고분군, 고령 지산리고분군, 함안 도항리고분군, 합천 옥전 고분군 등이 있습니다. 이 묘제는 경주를 제외한 경상도 전역과 전라북도 남원 지역에서도 발견되고 있어, 가야와 신라, 백제의 관계 규명에 중요한 자료입니다.

석실분은 석곽묘보다 규모가 크고 묘실에 출입하는 시설, 즉 입구가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석곽묘와 확실히 구분됩니다. 뿐만 아니라 석곽묘가 피장자 한 사람을 위한 일회용 묘제인 데 비해 석실분은 추가장을 전제로 한 가족묘인 점에서 석곽묘와 차이가 납니다.

석실분은 출입 시설의 형태에 따라 횡구식(橫口式)과 횡혈식 석실분(橫穴式石室墳)으로 구분됩니다. 이들 석실묘는 보통 2~3회에 걸쳐 추가장을 하며 묘실에 시신이 다 차면 완전히 폐쇄하게 됩니다. 횡구식석실분은 네 벽 중 한 벽을 입구로 이용한 형태로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부산 덕천동고분군이 있습니다. 횡혈식석실분은 묘실에 출입하는 입구, 즉 연도가 마련되어 있는 묘제입니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합천 저포리고분군이 있습니다.

옹관묘는 주로 소아 내지 유아용으로 이용되는데 청동기시대의 옹관묘와 연결되며, 합구식(合口式)과 단옹식(單甕式)이 있습니다. 이들 옹관 중에 석곽 안에서 발견되는 경우도 있는데 김해 예안리와 부산 괴정동유적 등에서 보입니다.


만족도 조사

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

평가:

※ 참고로 만족도조사에 제출하신 의견은 홈페이지 운영의 참고자료로 활용하며, 답변이 필요한 민원이나 문의글은 전화문의, 군민의소리 등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담당자
합천박물관 (☎ 055-930-4882)
최종수정일 :
2019.06.27 14:25: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