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계(ha) | 전 | 답 | 대지 | 임야 | 기타 |
---|---|---|---|---|---|
5,002 | 236 | 519 | 59 | 3,838 | 350 |
행정리 | 가구수 | 계 | 남 | 여 |
---|---|---|---|---|
거산 | 59 | 91 | 46 | 45 |
계동 | 21 | 34 | 16 | 18 |
화양 | 44 | 65 | 34 | 31 |
나곡 | 24 | 38 | 20 | 18 |
안성 | 45 | 77 | 40 | 37 |
평촌 | 39 | 64 | 33 | 31 |
도옥 | 60 | 95 | 48 | 47 |
창촌 | 30 | 45 | 21 | 24 |
산제 | 55 | 86 | 41 | 45 |
교동 | 112 | 203 | 100 | 103 |
가야 | 24 | 33 | 16 | 17 |
반포 | 54 | 89 | 45 | 44 |
팔심 | 47 | 73 | 38 | 35 |
봉곡1 | 25 | 43 | 22 | 21 |
봉곡2 | 26 | 41 | 19 | 22 |
광산 | 56 | 82 | 40 | 42 |
관기 | 76 | 135 | 62 | 73 |
중촌 | 43 | 64 | 32 | 32 |
웅기 | 25 | 37 | 19 | 18 |
가산 | 47 | 88 | 37 | 51 |
공곡 | 20 | 28 | 12 | 16 |
계 | 932 | 1,511 | 741 | 770 |
묘산면은 고려시대에 심묘면으로 되었다가 조선시대에는 심묘와 거을산으로 나누어졌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시 묘산면이 되었다. 묘산면은 합천군 1읍 16면중의 하나인데 본래 합천군의 지역으로서 큰 산이 많으므로 거을산면과 심묘면으로 나누어져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시에 상기 2개면과 현내면의 라천, 묵촌 일부와 산어면의 청현동 일부를 병합하여 심묘와 거을산 이름을 따서 묘산면이라 하였다.
묘산면은 동경 128도 9분, 북위 35도 34분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은 경상북도와 합천읍, 서쪽은 거창군과 봉산면, 남쪽은 합천읍과 봉산면, 북쪽은 아로면과 가야면에 인접해 있다. 산세를 보면 서북쪽은 오도산과 두무산, 동쪽은 만대산과 노태산 남쪽으로는 마령산이 뻗어 있으며, 면중부에 화성산, 샛등산이 자리잡아 넓은 들이 없고 마을주위에 농토가 조금 있는 편이다.
또한 반포 팔심 사리에서 발원된 물이 교동천에서 합류하여 경남북경계에서 가야산에서 발원된 물과 합류하여 쌍림천으로 흐르는 낙동강의 지류로 타면의 물이 흘러 들어오지 않는 산간오지이다. 교통편은 국도 24호선과 26호선이 면의 동, 서, 남으로 연결되어 있어 대구, 거창, 광주, 전주, 진주, 마산, 부산 방면의 모든 버스가 묘산을 경유하는 교통의 요충지였으나 84년 광주대구고속도로가 개통된 후 버스이용편이 불편해진 상태나 개인 소유 자동차가 많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