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연 대 | 합천지역 | 초계지역 | 삼가지역 | 대병지역 | 야로지역 | 비 고 | |
---|---|---|---|---|---|---|---|
선사시대 | 구석기시대부터 인류가 거주한 것으로 추정됨 | 합천 인근 거창 임불리에서 후기 구석기시대 유적이 발굴 조사되었고, 대양면 대목리 수습 석기와 합천댐 건설에 따른 유적발굴 시 봉계리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와 석기를 통해 신석기시대인의 삶의 흔적이 확인됨 | |||||
삼한시대 | 대량국 (다라국에서 유래된 나라이름) | 초팔혜국 (산반해 또는 산반하국) | 사이기국 | (미상) | 적화국 | 전 지역이 변한에 속하였으며, 합천 각 지역에 소국(小國)이 존재한 것으로 추정됨 | |
가야시대 | 다라국, 사이기국, 산반하국 등이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함 | ||||||
삼국 시대 | 서기 562년 (진흥왕23년) | 가라국(대가야국)과 함께 멸망하면서 신라에 영속 | |||||
서기 565년 (진흥왕26년) | 대량주 설치 | 초팔혜현 설치 | 가주화현 설치 | 삼지현 설치 | 적화현 설치 | ||
통일신라시대 | 서기 757년 (경덕왕16년) | 군으로강등 강양군으로 호칭 | 팔계현으로 개칭 (강양군속현) | 가수현으로 개칭 (강주의속현) | 삼기현으로 개칭 (강양군속현) | 야로현으로 개칭 (고령군영속) | |
고려시대 | 서기 1018년 (현종9년) | 합주로승격 (속현:12개현) | 초계현으로 개칭(합주에 영속) | (합주에 영속) | (합주에 영속) | (합주에 영속) | 현종이 대량원군으로 있을 때 진외가인 합천 옥산에 살았다고 하며,왕에 등극 후 조모 신성왕후의 고향이라고 郡을 州로 승격시켰다고 함. |
서기 1334년 (충숙왕 복위 3년) | 초계군 으로 승격 | 초계현을 일시 청계현으로,가수현을 봉성현으로,삼기현을 마장현으로 별칭하기도 하였다. | |||||
조선시대 | 서기 1413년 (태종13년) | 야로현이 합병되면서 합천군으로 강등(20개면) | 초계현으로 강등(11개면).이후 다시 군으로 승격 | (합천군에 합병) | |||
서기 1414년 (태종14년) | 가수현이 삼기현과합병 삼가현이라 칭함(20개면) | (가수현과 합병) | |||||
서기 1629년 (인조7년) | 합천군이 합천현으로 강등 | 앞정권의 실세인 내암정인홍의 출생지라 강등됨. | |||||
서기 1644년 (인조22년) | 합천현이 합천군으로 승격 | ||||||
서기 1895년 (고종32년) | (진주부에 속함) | (진주부에 속함) | 삼가군으로 승격(진주부에 예속) | ||||
1914. 3. | 초계군, 삼가군이 합천군에합병 | (합천군에 합병) | (합천군에 합병) | 당시 합천군 궁소면을 의령군으로,삼가군,신원면은 거창군으로 편입되었음.(18개면으로 조정됨) | |||
1929 | 백상면과 상백면을 합쳐 쌍백면으로, 강양면을 합천면으로 개칭 | 17개면으로 조정됨. | |||||
1979.5.1. | (합천면이 읍으로 승격) | 1읍 16개면이됨. | |||||
1983.2.. | (적중면 권혜리, 묵방리가 의령군 부림면으로 편입) | ||||||
1987.1.. | (봉산면 죽죽리가 용주면으로 편입되고 봉산면 저포리는 계산리로, 노파리는 고삼리 및 술곡리로 및 대병면 창리는 회양리로 각각편입) | 1984년~1988년에 시행한 합천댐건설에따라 행정구역 변경 | |||||
1989.1. . | (대양면 오산리 일부가 의령군 봉수면에, 삼가면 외토리 일부가 의령군 대의면에 편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