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번역시스템을 이용하여 자동 번역중입니다. 번역이 정확하지 않을 경우가 있습니다.
It is under automatic translation using Google translation system. The result may not be accurate.
면 적 | 가 구 | 인 구 | 행정구역 |
---|---|---|---|
104.99㎢ | 2,273세대 | 4,277명 (남 2,098 여 2,179) |
법정 14개리, 행정 26개리, 자연마을 55개 |
구분 | 법정리 | 행정통(리)명 | 자연마을 | 가구수 | 총인구 | ||
---|---|---|---|---|---|---|---|
계(%) | 남 | 여 | |||||
(계) | 14 | 26 | 55 | 2,273 | 4,277(100) | 2,098 | 2,179 |
1 | 야천리 (倻川里) |
야천 1구(1통) | 탑골, 전골 | 272 | 533(12) | 267 | 266 |
야천 2구(2통) | 각사 | 59 | 126(3) | 64 | 62 | ||
야천 3구(3통) | 공장 | 31 | 54(1) | 23 | 31 | ||
2 | 구원리 (舊源里) |
구원 1구(4통) | 홍류동, 터서리, 원구원,사기점 | 102 | 177(4) | 75 | 102 |
구원 2구(5통) | 공장 | 56 | 91(2) | 38 | 53 | ||
3 | 치인리 (緇仁里) |
치인 1구(6,7통) | 신부락, 원치인 | 172 | 516(12) | 315 | 201 |
치인 2구(8통) | 삼정, 마장, 초막 | 211 | 279(7) | 91 | 188 | ||
4 | 죽전리 (竹田里) |
죽 전(9통) | 석계, 새터, 대밭골 | 74 | 130(3) | 69 | 61 |
5 | 대전리 (大田里) |
대 전(10통) | 남교, 한밭, 황령 | 92 | 168(4) | 82 | 86 |
6 | 가천리 (加川里) |
가 천(11통) | 지산, 더내, 덕방 | 70 | 119(3) | 52 | 67 |
7 | 구미리 (九美里) |
구미 1구(12통) | 구미실 | 32 | 63(1) | 30 | 33 |
구미 2구(13통) | 숲뒤, 학계 | 61 | 110(3) | 58 | 52 | ||
8 | 매안리 (梅岸里) |
매안 1구(14통) | 중매, 하매 | 105 | 189(5) | 93 | 96 |
매안 2구(15통) | 상매,영전,야동,교동 | 106 | 196(5) | 96 | 100 | ||
9 | 성기리 (城基里) |
성기 1구(16통) | 나부동, 성터 | 63 | 106(3) | 53 | 53 |
성기 2구(18통) | 상두, 하두 | 41 | 65(1) | 30 | 35 | ||
10 | 청현리 (晴峴里) |
청현 1구(19통) | 개터, 신평 | 49 | 78(1) | 43 | 35 |
청현 2구(20통) | 오리밭 | 25 | 49(1) | 27 | 22 | ||
11 | 이천리 (伊川里) |
이 천(21통) | 기터, 시내 | 34 | 68(1) | 39 | 29 |
12 | 매화리 (梅花里) |
매화 1구(22통) | 맬리 | 26 | 44(1) | 20 | 24 |
매화 2구(23통) | 쑥곡, 생양골, 정동 | 75 | 131(3) | 67 | 64 | ||
13 | 사촌리 (蓑村里) |
사촌 1구(24통) | 외사, 중무동 | 95 | 168(4) | 80 | 88 |
사촌 2구(25통) | 내사, 새청 | 51 | 105(3) | 49 | 56 | ||
14 | 황산리 (黃山里) |
황산 1구(261통) | 안담, 너들담, 샛담 | 146 | 288(7) | 140 | 148 |
황산 2구(27통) | 무릉동, 청량동 | 69 | 105(3) | 47 | 58 | ||
황산 3구(28통) | 시장 | 156 | 319(7) | 150 | 169 |
가야면은 합천군 1읍, 16개면의 하나이다. 이 지역은 삼한시대에는 변한에 속하였으며, 그때 다라국(多羅國)이라는 부족국가가 있었는데,A.D 1세기 고령에서 일어난 대가야국(大伽耶國)이 주위의 부족국가를 병합함에 따라 A.D 2세기경 다라국도 대가야국에 병합되었다.
따라서 신라 3국 통일이 있기까지는 대가야국의 영토로 소속되었다가 그후 적화현(赤火縣)으로 불리다가 신라 35대 경덕왕 16년에 야로현(冶爐縣)으로 고쳐 불리면서 고령군에 영속되었다.
고려 8대 현종 9년에 신라 때 대량주(大良州)였다가 경덕왕때 강양군으로 고쳐졌던 합천고을이 현종의 할머니 신성왕후의 출신지가 되어 지합주사(知陜州事)로 승격됨에 따라 비로소 합주의 속현이 되었는데,별명으로 야성(冶城)이라고 불리기도 했다. 조선조 태종 13년에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합주가 합천군이 되고 야로현이 폐현됨으로써 합천군에 속하게 되었다.
고종 28년 각사(各寺), 산어(山於), 숭산(崇山) 3개면으로 분면되었다가 1914년에 행정구역 통합에 따라 가야면으로 호칭하게 되었다. 가야면으로 통합되면서 빙연이 야로면으로 이관되고 죽전(竹田), 대전(大田), 가천(加川), 구미(九美), 매안(梅岸), 성기(城基), 청현(晴峴), 이천(伊川), 매화(梅花), 사촌, 황산(黃山), 야천(倻川), 구원, 치인(緇仁)의 14개리로 개편 관할하게 되었다. 가야면이라고 호칭한 것은 이름난 영산(靈山)이며, 이고을의 진산인 가야산을 본따서 지었다고 보아지며, 가야는 범어(고대 인도어)로 소를 의미한다. 가야산이 본래 소머리산으로 붙이게 된 것은 우리나라에 불교가 전래되면서 부터일것으로 절伽자 절倻자가 이를 증명하고 있다.
가야면은 동경 128도 70분, 북위 35도 49분에 위치하며, 동으로 경북 고령군, 서로 본도 거창군, 남으로 본군 야로와 묘산면, 북으로 경북 성주군과 경계를 이루고 있으며, 합천읍에서 34.8km 지점에 있다. 가야면은 경상남도와 합천군의 가장 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수와 고적과 인걸의 고장으로 전국에 이름이 높다.
북쪽에서 예부터 조선팔경의 하나로 꼽히는 해동명산 가야산이 높이 솟아 천주를 이루어서 경상남.북도의 분수령이 되고, 남으로 달리면서 천견지비(天堅地秘)의 계곡을 형성했으니 천하의 일대웅관(一大雄觀)이다. 가야산에서 남으로 북두산 서쪽은 남산제 1봉과 매화산, 비계산이 가야면의 진산이 되었다. 두무산(斗霧山)은 비계산 내맥(來脈)인데 전설에 고명은 두무산이므로 이 산의 영향으로 인물이 나도 결과가 좋지 못한 사람이 많다 하여 산 이름의 글자를 바꾸었다고 한다.
그 옆에 솟아있는 오도산(五道山)은 이름 그대로 한두 양 명현(名賢)이 성도한 명산이다. 사방이 고산준령에 둘러싸여 아름다운 산세와 인걸은 지령(地靈)이라 이 산들의 정기로 무수한 현인달사가 나고 자라는 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일찍이 신라말기 동방사상(東方思想)을 개천한 문호 고운 최지원선생이 유.불.선에 겸통하여 청빈락도하는 선비의 철학을 몸소 실천하다가 가신 둔세지요, 15세기의 위대한 도학자 한훤당 김굉필, 일두 정여창 두 선생이 도의지교로 뜻을 같이하여 문묘오현(文廟五縣)에 배향되신 요람의 독서지소가 이고장이다.
16세기에는 이고장에서 태어나 무실역행(務實力行)의 실천유학을 부르짖고, 산림유일지사로 영상의 자리에 오른 내암 정인홍선생의 산림정치의 시원지(始源地)가 되었으며, 임란7년 전란의 와중에서도 왜적에게 침범당하지 않은 유일한 고장이며, 세계적인 문화유산인 해인사와 팔만대장경을 보존할 수 있었던 성지가 이 고장이다.
이러한 연유로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적인 명승지로 국내외적으로 자랑한 만한 관광자원이 대단히 풍부한 고장이다.
가야면의 총 면적은 104.99km인데 이중 밭이 4.27km, 논이 7.74km, 대지가 0.74km, 임야가 87.01km, 기타 5.23km이다. 가야면은 지역이 넓고 골짜기마다 마을이 형성되어 면소재지에서 가장 먼 고을은 15km나 될 정도로 산을 배경으로 계곡을 안고 분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며, 야천리등 14개 법정리에서 26개 행정리와 53개 자연마을로 형성되어 있다.
가야면은 2012년 12월말 현재 2,264가구에 5,127명이 거주하고 있다. 성씨와 분포를 보면 서산정씨, 김해김씨, 합천이씨, 밀양박씨, 완산전씨, 진주강씨, 경주김씨, 광산김씨, 문화유씨, 파평윤씨, 남평문씨, 순천박씨, 김령김씨, 하양허씨 등이 집성촌을 이루어 살고 있다.
부 분 | 수 량 | 내 역 | 비 고 |
---|---|---|---|
국 보 | 3점 |
|
제 32 호 제 52 호 제 206 호 |
보 물 | 9점 |
|
제 128 호 제 222 호 제 253 호 제 264 호 제 265 호 제 266 호 제 518 호 제 734 호 |
사적 및 명승 | 1개소 |
|
제 5 호 |
지방유형 문화재 |
9점 |
|
제 38 호 제 42 호 제 145 호 제 156 호 제 254 호 제 255 호 제 256 호 제 86 호 제 87 호 |
사찰 및 암자 | 16개소 |
|
- |
자연경관 | 11개소 |
|
- |
연 번 | 상 호 | 주 소 | 전화번호 | 비 고 |
---|---|---|---|---|
1 | 가야장여관 | 가야면 치인 10 | 055-932-7220 | ※ 순번은 무순임 |
2 | 귀빈장여관 | 〃 | 055-932-7422 | - |
3 | 국제장여관 | 〃 | 055-932-7382 | - |
4 | 대성장여관 | 〃 | 055-932-7359 | - |
5 | 문화장여관 | 〃 | 055-932-7237 | - |
6 | 부산장여관 | 〃 | 055-932-7361 055-933-0977 |
- |
7 | 산장별장여관 | 〃 | 055-932-7245 | - |
8 | 은성장여관 | 〃 | 055-932-5599 | - |
9 | 진주장여관 | 〃 | 055-932-7216 | - |
10 | 청운장모텔 | 〃 | 055-932-7555~6 | - |
11 | 88장여관 | 〃 | 055-932-7377 | - |
12 | 해인장여관 | 〃 | 055-932-7378 | - |
13 | 해인사관광호텔 | 〃 | 055-933-2000 | - |
14 | 향원장여관 | 〃 | 055-932-7575~7 | - |
15 | 향토장여관 | 〃 | 055-932-7269 | - |
16 | 현대장여관 | 〃 | 055-932-7344 | - |
17 | 홍도장여관 | 〃 | 055-932-7272 | - |
18 | 남산장여관 | 가야면 야천리 477-24 | 055-932-5811 | - |
19 | 청기와산장 | 가야면 야천리 204-1 | 055-931-9300 | - |
20 | 산새소리산장 | 가야면 야천리 320-13 | 055-931-5992 | - |
21 | 국일장여관 | 가야면 야천리 887-7 | 055-931-9000 | - |
22 | 가야산장여관 | 가야면 야천리 477-3 | 055-932-7803 | - |
업 체 명 | 대 표 자 | 주 소 | 연 락 처 | 주요생산품 |
---|---|---|---|---|
고려도기 | 이명천 | 야천리 84 | 055-932-7982 | 도자기 |
태경요업 | 김영식 | 야천리 789 | 055-931-2593 | 〃 |
민환요업 | 김석환 | 야천리 668-3 | 055-933-8120 | 〃 |
괴목뿌리공예 | 이쌍조 | 야천리 295-7 | 055-931-7643 | 목공예 |
승완도기 | 서용호 | 구원리 874-2 | 055-931-4975 | 도자기 |
선림도기 | 노시용 | 구원리 103 | 055-931-9789 | 〃 |
강파도원 | 윤문자 | 구원리 103 | 055-932-9998 | 〃 |
매화도기 | 김 현 | 구원리 480-2 | 055-931-8325 | 〃 |
밝달가마 | 여상명 | 치인리 872 | 055-931-2805 | 차그릇 |
가야벽돌 | 이현주 | 성기리 741-1 | 055-932-7666 | 벽돌/세면제품 |
운포도예 | 오석홍 | 매화리 184 | 055-932-2498 | 도자기 |
옹기장이 | 김정섭 | 매화리 113-10 | 055-931-7484 | 생활자기 |
경림요업 | 김인식 | 사촌리 1166-3 | 055-933-8326 | 영업용커피잔 |
대상요업 | 김석춘 | 사촌리 659 | 055-934-1160 | 도자기 |
가야도예 | 이미향 | 사촌리 851 | 055-931-5689 | 내열뚝배기 |
현대도자기 | 정경자 | 사촌리 577-5 | 055-933-6979 | 도자기 |
세경요업 | 김유대 | 사촌리 670 | 055-933-8495 | 〃 |
경원도기 | 김홍식 | 사촌리 851-4 | 055-931-5689 | 〃 |
대평요업 | 김춘식 | 사촌리 915-2 | 055-934-0444~5 | 〃 |
세림도자기 | 구희정 | 황산리 195-1 | 055-931-7011 | 〃 |
삼진요업 | 김영환 | 황산리 273 | 055-933-9800 | 〃 |
청원도토 | 박우용 | 황산리 310 | 055-933-7977 | 황토머그/생활도자기 |
무릉도자기 | 이남수 | 황산리 507-2 | 055-932-8074 | 생활도자기/납골단지 |
법천도예 | 조종학 | 황산리 536-1 | 055-932-8006 | 생활도자기 |
구원도기 | 이춘식 | 황산리 481 | 055-933-1789 | 붓통/수저통 |
토광도예 | 정상일 | 구원리 50-7 | 055-931-5564 | 작품도자기 |
삼성요업 | 장운오 | 황산리 53 | 055-933-7753 | - |